사진 13
국보20호 경주 불국사 다보탑 문화유산
조회 수
223
코멘트
0
1
(주)쓰리디뱅크 3DBANK
  • 9795Uploads
  • 1562Downloads
  • 14Likes
  • 255Follower
  • 5Following
콘텐츠 분류
건조물
콘텐츠 이용
유료다운로드
시대
통일신라 (국보 20호)
소장처
불국사

불국사는 통일신라 경덕왕 10년(751) 김대성의 발원에 의해 창건된 사찰로, 과거·현재·미래의 부처가 사는 정토(淨土), 즉 이상향을 구현하고자 했던 신라인들의 정신세계가 잘 드러나 있는 곳이다.『삼국유사』에는 김대성이 전생의 부모를 위해서 석굴암을, 현생의 부모를 위해서 불국사를 지었다고 전해진다. 그러나 그가 목숨을 다할 때까지 짓지 못하여 그 후 나라에서 완성하여 나라의 복을 비는 절로 삼게 되었다.

다보탑과 석가탑(경주 불국사 삼층석탑,국보 제21호)은 우리나라의 가장 대표적인 석탑으로, 높이도 10.29m, 10.75m로 비슷하다. 절내의 대웅전과 자하문 사이의 뜰 동서쪽에 마주 보고 서 있는데, 동쪽탑이 다보탑이다. 다보탑은 특수형 탑을, 석가탑은 우리나라 일반형 석탑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. 두 탑을 같은 위치에 세운 이유는 ‘과거의 부처’인 다보불(多寶佛)이 ‘현재의 부처’인 석가여래가 설법할 때 옆에서 옳다고 증명한다는『법화경』의 내용을 눈으로 직접 볼 수 있게 탑으로 구현하고자 하기 위함이다.

석가탑을 보면 2단의 기단(基壇)위에 세운 3층탑이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지만, 다보탑은 그 층수를 헤아리기가 어렵다. 십(十)자 모양 평면의 기단에는 사방에 돌계단을 마련하고, 8각형의 탑신과 그 주위로는 네모난 난간을 돌렸다.

탑이 건립된 시기는 불국사가 창건된 통일신라 경덕왕 10년(751)으로 추측된다. 목조건축의 복잡한 구조를 참신한 발상을 통해 산만하지 않게 표현한 뛰어난 작품으로, 4각, 8각, 원을 한 탑에서 짜임새있게 구성한 점, 각 부분의 길이·너비·두께를 일정하게 통일시킨 점 등은 8세기 통일신라 미술의 정수를 보여주고 있다.

안타깝게도 다보탑에는 일제에 나라를 빼앗겼던 설움이 고스란히 전해져 온다. 1925년경에 일본인들이 탑을 완전히 해체, 보수하였는데, 이에 관한 기록이 전혀 남아 있지 않다. 또한 탑 속에 두었을 사리와 사리장치, 그 밖의 유물들이 이 과정에서 모두 사라져버려 그 행방을 알 수 없게 되었다. 그리고 기단의 돌계단 위에 놓여있던 네 마리의 돌사자 가운데 3마리가 일제에 의해 약탈되어, 이를 되찾기 위한 노력이 오래전부터 있었으나 아직까지 그 행방을 알 수가 없으며, 현재 1마리의 돌사자가 남아있다.

댓글 0개
Source
3dbnt002002A.glb
Animation
Y(2)
Vertex
12,785
Triangle
6,570

  • 3dbnt002002A.glb

  • 엽서_PS010020010010256400

  • 한국미술5천년우표다보탑_PS01003013

  • 경북경주_불국사_다보탑_금동보살입상_불입상

  • 도서자료_안진경필_천복사_다보탑_감응비문_

  • 조선명소경주_신라고적_불국사_다보탑_PS0

  • 신라고적_경주불국사_다보탑_PS010033

  • 10원짜리_동전_속_다보탑은_가짜__|_경주_|_불국사_|_다보탑_|_십원빵_|_돌사자_|_최영복_'비움'_|_최작가(CHOI)의_시처럼_그림처럼___경주__불국사__다보탑_(1)

  • Love_우리_문화유산_석가탑과_다보탑_(1).mp4

  • 1_경주_불국사_다보탑.jpg

  • 2_경주_불국사_삼층석탑_건축_2010년(

  • 3_구례_화엄사_사사자_삼층석탑.jpg

  • 4_경주_불국사_청운교,_백운교_정면_(고

  • 5_경주_불국사_대웅전_정면.jpg

  • 6_경주_불국사_연화교_및_칠보교.jpg

  • 7_경주_불국사_청운교_및_백운교__(촬영
동일 카테고리내 인기자료
    Uploder 자료